통신사 제휴카드가 이득인지 손해인지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정답이 하나로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인에게 제휴카드 사용이 더 유리한지 아닌지 비교해보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오늘은 제휴카드의 종류, 그리고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 지 그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통신사 제휴카드, 만드는 게 좋을까?
먼저 본인이 사용할 통신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제휴카드'를 검색합니다. 그럼 이번 달 발급 가능한 제휴카드 목록이 쭉 나타납니다. 거기서 카드 내용을 쭉 보고 마음에 드는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사 페이지로 이동해 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제휴카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1. 청구할인 카드
- 실적을 채우면 통신요금을 할인해주는 카드입니다.
2. 장기할부 서비스
- SKT의 T라이트, LG 유플러스의 스마트 할부, KT의 Super 할부 등 장기할부 서비스입니다.
이 두 가지 혜택이 합쳐진 카드도 있고 각각 따로 적용되는 카드도 있으므로 본인에게 맞는 통신사 제휴카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카드를 신청하기 앞서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내가 발급하려는 제휴카드의 전월실적 적용 항목과 나의 소비패턴이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잘 맞지 않는다면 그냥 제휴카드를 만들지 않고, 신용카드 중에 통신요금 할인혜택이 있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월 40만원 실적을 챙면 통신요금을 10% 정도 할인해주는 신용카드가 있다고 해봅시다. 이 카드는 통신할인은 물론 쇼핑, 커피, 주유, 공과금 등 여러 영역에서 함께 할인이 됩니다. 반면 내가 발급하려던 통신사 제휴카드는 실적 30만원 이상을 채우고 통신요금 자동이체를 걸면 만원 안쪽으로 할인이 된다고 합니다.
그럼 이럴 땐 당연히 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통신사 제휴카드로 통신비만 할인받는 것보다, 소비패턴에 맞는 다른 신용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더 옳을 수도 있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꼭 잘 비교해보고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핸드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약정기간 위약금 유예 정보 알아보기 (0) | 2022.02.08 |
---|---|
핸드폰사이트 휴대폰 성지 용어 정리! (0) | 2022.02.07 |
핸드폰 휴대폰 반납조건 비추하는 이유 (0) | 2022.01.27 |
트위터 비활성화 계정 삭제 방법 확인하세요 (0) | 2022.01.26 |
핸드폰 요금 할인 25% 선택약정 알아보기 (0) | 2022.01.26 |
댓글